golang(3)
-
[#6] 기본 코드 구조 구상 및 mongodb access
현재 go-board-api의 디렉토리 구조는 위와 같다. 향후 개발을 지속하며 변경 사항이 생길 수 있겠지만, router directory - 게시판 REST API Endpoint에 대한 경로 설정 mongodb directory - mongodb access를 관리하는 package 위치 handler directory - 게시판 REST API Endpoint 별 요청을 처리하는 함수들 위치 현재는 간단하게 위와 같이 생각 중이다. 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디렉토리나 패키지를 분리하고 싶어지더라도, 최대한 위 구조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기능 개발이 마무리되면 코드를 정리해볼 생각이다. mongodb access와 관련된 코드는 다음과 같다. 다음 장에서는 REST API를 하나씩 설계해볼 예정이다. ..
2022.03.20 -
[#3] golang api 개발을 위한 기초 예제
api는 당연히 http를 바탕으로 개발이 되어야 한다. 따라서 golang에서 http 관련 다양한 프레임워크 중 gorilla/mux라는 것을 이용할 것이다. 간단하게 터미널에서 go get -u github.com/gorilla/mux를 입력하면 pkg 디렉토리 내의 mod 디렉토리 내에 github.com/gorilla/mux@{버전정보} 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(사실 어느 위치에서 저 명령어를 입력하는지는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은데, 본인은 src/go-board에서 저 명령어를 입력하였다.) package main import ( "encoding/json" "github.com/gorilla/mux" "net/http" ) func handler(w http.Response..
2022.03.12 -
Golang 게시판 만들기 - 프롤로그
개인적으로 golang을 사용할 이유가 생겼다. 해당 언어를 공부함과 동시에, 네트워크, db, 클라우드 등 다양한 개발 환경에 대한 실전 학습을 하고자 간단한 게시판을 만들까...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, 기왕하는김에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작성하려고 한다. 형식에 너무 얽매이지 않고 가볍게 작성하는 느낌으로...ㅎㅎ Cloud env. : Naver Cloud Database : Redis Language : Golang v1.13 IDE : GoLand한글 자료가 풍부한 네이버 클라우드를 이용할 것이고, nosql에 대한 경험 및 학습이란 목표로 redis를 이용하기로 하였다. IDE로는 jetbrain 사의 GoLand를 이용할 것인데 vscode도 굉장히 잘 되어있기 때문에 사실 본 포스팅을 참조..
2022.03.11